본문 바로가기

마라톤첫도전

그녀는 멋졌다. - 핫썸머남산혹서기마라톤 2010-07-18. Hot Summer 혹서기마라톤(하프). 시각장애인 염동춘님 가이드 기록 : 2:51:35. 핫썸머남산혹서기마라톤 대회는, 어지간히 큰 3개의 고개로 이루어져 있는 3km 거리의 남산 중턱 산책로를 왕복하는 경기이다. 따라서 풀코스는 7회전을 해야하니 42개의 고개를 넘어야하고, 하프코스도 21개 이상의 고개를 넘어야 하는 힘든 코스이다. 그러니 초보자가 도전하기에는 꽤나 힘든 코스이다. 최순자. 이 분을 처음 본 건 6월13일 고양마라톤에서이다. 그때 처음으로 10km인가를 뛰신 걸로 알고 있다. 그리고 한달여가 지난 이번 대회에서 그 힘든 남산 코스를 비록 시간은 좀 걸렸을지라도 끝내 하프코스를 완주해내셨다. 어제 우리 클럽 멤버 중 가장 늦게 완주하시고, 식구들이 기다리고 있는.. 더보기
천사의 배려인가? 악마의 유혹인가?-아디다스MBC한강마라톤 2010-04-25. 아디다스 MBC 한강마라톤(풀). 기록 : 4:13:43. 지금 이 순간 멈춰 서버린다면, 너무너무 착한 천사의 배려로 봐야할까? 시종일관 끈질기게 파고드는 악마의 승리라고 봐야할까? 나는 내 맘 내키는 대로 걷거나 멈출 수 있는 자유와 권리가 있다. 윤리도덕이나 양심적으로도 전혀 거리낄게 없고, 누가 손가락질하거나 측은해 하지도 않는다. 누구의 강요도 없는, 순수한 내 의지에 따라, 내가 좋아서 뛰고 있을 뿐이며, 성공이든 실패든 별다른 보답도 책임도 없다. “그래서 멈춰도 된다. 아니 멈춰야겠다.” “안 된다. 절대 멈춰서는 안 된다. 그 동안 수많은 연습과 다짐을 해오지 않았는가? 네 오기가 이렇게 허술하진 않지 않은가?” “아니다. 그런데 지금의 컨디션으로는 도저히 목표달성이.. 더보기
별 볼일 없는 오기- 서울국제마라톤 2010-03-21. 서울국제마라톤(풀). 기록 : 3:54:48. 요즘처럼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모든 일들의 과정은 축소 생략된 채, 화면에 보여지는 결과에만 관심이 집중되는 결과지상주의가 심화되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당사자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인내의 준비과정을 거칠 것이다. 마찬가지로 마라톤에서도 자신의 기록을 단축코자 한다면 그 준비과정이 얼마나 중요하고 절실한가? 그래서 지난 몇 개월 많은 훈련을 했지만, 기존 기록보다도 10여분을 단축하는 3:30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달리기 훈련만으로는 안 된다는 느낌이 강했다. 나는 30대 후반에 주말부부 생활을 하며, 건강을 제대로 챙기지 않아 폐결핵에 걸린 적이 있다. 9개월 동안이나 독한 결핵약을 먹을 정도였으니, 지금도 폐 사진을 찍으.. 더보기
안동 휴가지에서의 7월의 마지막 밤 안동 휴가지에서의 7월의 마지막 밤(2009-07-31). 그동안 달리기를 하면서 나름대로 꼭 지키고자 하는 규칙 같은 게 하나 생겼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마라톤 모임 정기 연습에 빠지지 않고 참가해 달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뛸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또한 달린다는 것이 결코 쉽거나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것만은 아니기에 때론 힘들고 귀찮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따라서 한두 번 빠지다보면 계속 빠지게 되는 걸 경계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변화무쌍한 세상살이 속에서 시계추처럼 계획표대로 완벽하게 살아갈 순 없다. 그렇지만 월별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의지만 강하면 가능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렇게 월별 목표라도 세워두고 끝까지 그걸 채우기 위.. 더보기
폭우 속에서 달리는 맛 - 핫썸머남산혹서기 폭우 속에서 달리는 맛 - 핫썸머남산혹서기. 2009-07-12. HOT Summer 혹서기마라톤(하프). 마라톤을 시작하고서 지난 겨울에 남산 순환코스를 2~3회 두 바퀴 정도씩 뛰어본 적이 있다. 따라서 오르막에서 유독 약한 나에게는 얼마나 힘든 코스인지는 충분히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에 참가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9월에 100km 울트라마라톤에 참가하려면 풀코스를 매월 한번 씩은 뛰어야한다는 회장님의 조언 때문이었다. 그래서 7월 대회를 찾아보니, 힘들긴 해도 가깝고 그늘까지 있는 이 대회로 결정을 했다. 대회 접수 마감 하루 이틀 남겨두고 참가비를 송금하려는데, 회장님이 기다려 보란다. 그러더니 다음날 주최 사무실에 찾아가 무료로 참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고마울 수가.... 더보기
불-수-사-도-삼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참가 후기 불-수-사-도-삼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참가 후기. 2009-06-21.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기록 12:35:00 야! 이거야말로 진짜 미친 짓이다. 이렇게 힘든 짓을 왜 하지? 이건 정말이지 두 번 다시 할 짓이 아니다. 마지막 두세 봉우리를 오를 때는 가슴이 터질 것 같고, 숨 쉬기가 곤란하다. 혼미한 정신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내딛는 오르막길의 힘든 무게만큼, 내 머릿속을 꽉 채우는 부정의 무게들이다. 죽지 않는 이상 완주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이 무모한 행위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까지 막을 수는 없나보다. 이토록 고된 훈련을 하는 곳이 있다면, 그곳은 어디이며, 무엇 때문에 할까? 여기에는 ‘애국’이라는 거창한 구호나 명분도 없다. ‘독재자’의 필요에 의한 수단이나 강제성도 없다. 아무리 잘.. 더보기
나를 찾아서 -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출사표 나를 찾아서 -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출사표. 아마 4년 전 쯤의 얘기인 것 같다. 당시 스스로를 컨트롤하지 못하고, 오후만 되면 자리를 비워두고 기원엘 다닐 때의 일이다. ‘불-수-사-도-삼 오산종주 산악울트라’ 3회째 기사를 보고, 한번 참가해보는 게 꿈이라고 말을 했다. 그랬더니 옆에서 듣고 있던 기원 멤버 중에 한 분이 대뜸, “자네가 오산종주를 하면, 내가 형님이라고 부른다.”고, 하시는 거다. 그분은 나보다 12~3세가 많은 분이었다. 당시 그분은 일요일마다 산엘 다녔기 때문에 짐작만으로도 오산종주 마라톤이 얼마나 힘들까 하는 건 충분히 상상 가능했으리라. 거기다 ‘운동이라곤 한 번도 하지 않을 모습으로, 자기 절제력도 없이 수시로 기원을 들락거리며 술과 담배에 젖어 있는데, 가당키나 하랴.’ .. 더보기
과훈련에 대한 몸의 거부반응 - 파주런 하프 과훈련에 대한 몸의 거부반응 - 파주런 하프. 2009-06-07. 파주런마라톤(하프). 기록 1:55:00 어쩌면 지난 한 주는 과훈련에 대해서 몸이 보내는 경고와 체벌의 시간이 아니었나 싶다. 200km로 정한 5월 목표를 채우기 위해, 마지막 한주 동안에 거의 100km를 몰아치기로 뛰었던 것이다. 그 마지막 날인 지난주 일요일(31일)엔, 송추-여성봉-오봉-우이암-우이동-위문-대남문-의상봉-북한산성까지 7시간여에 걸쳐 30km정도를 달렸었다. 지금까지의 오산종주훈련 중 가장 길고 힘든 코스였다. 그랬더니 제일 먼저 무릎이 힘들다고 신호를 보내왔다. 그래서 월요일은 정모에 참석만 하고 뛰지는 않았다. 그런데 집에 와서부터 서서히 몸살 증세가 나타나더니 화요일부터는 계속되는 몸살과 설사로 사흘을 고생.. 더보기
나의 마라톤 멘토 나의 마라톤 멘토. 몇 년 전에 잠시 놀이 삼아 기원을 다닐 때 여러 사람이 바둑을 가르쳐 준다고 했었다. 그런데 나는 “이 나이에 바둑 배워서 어디 써먹겠느냐?”하면서 바둑 공부를 하지 않았었다. 그랬던 사람이 그로부터도 몇 년이 더 지난 지금에 와서는 중학생의 심정으로 공부하는 게 생겼다. 밤낮 뛰기만 하는 게 아니라, 책까지 사서 읽으며 공부하고 있다. ‘마라톤’ 이것이야말로 지금부터 해도 늦지 않았고, 앞으로 뛸 수 있는 날까지 오랫동안 함께 갈 친구로 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사실 몇 년 전부터 마라톤을 꼭 하고는 싶었지만, 게으름보다도 너무 자신이 없었다. 과거 지독히도 달리기를 못했다는 기억이며, 폐결핵으로 인한 숨 가쁜 것 때문에, 세상 사람들 모두가 마라톤을 한다 해도 나만은 못 할 것.. 더보기
인생! 도전의 연속? 도피의 연속?-마라톤 두번째 도전 인생! 도전의 연속? 도피의 연속?-마라톤 풀코스 두번째 도전. 2009-4-26. 아디다스 MBC 한강마라톤. 기록 3:39:19. 누군가 “인생은 도전의 연속”이라고 말 한다면, 나는 “인생은 도피의 연속”일 수도 있다고 말하고 싶다. 성격이 적극적이거나 낙관적이지 못해서만은 아니라고 본다. 나는 평소에 나 자신을 꽤나 역동적이고 도전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해왔다. 20대 말부터 40대 초반까지는 정상이 아닌 사람처럼 토요일 일요일도 없이 밤낮을 세워가며 일하고 공부하고 많은 종류의 도전들을 하며 살아왔다. “긍정적이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습관을 가져라.” 라는 말을 우리 아이들에게 떳떳하게 할 만큼은 했다. 그런데 수시로 이런 말을 하는 나 자신도 정반대의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 더보기